본문 바로가기
diverse information

자주쓰는 단어 맞춤법 제대로 써보자 !

by KKamTo 2022. 11. 13.
728x90

Ctrl + F로 원하는 단어를 검색해 보세요.

 

안,않 - 대표적으로 한국인과 언론조차 헷갈려하는 맞춤법 중 하나

안을 쓸때는 안 되다, 안돼, 안 돼로 쓰이는데, 부정하는 의미로 쓰이려면 안을 띄어서 씀

않을 쓸때는 아니하돼를 쓰는 표현에서 쓰면 된다 행동을 부정하는 뜻으로 쓰는 말.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아

 

필자도 가끔 어렵다.

먹으면 안 돼? (O) / 먹으면 안돼? (X) / 먹으면 안 된데? (O)

먹으면 안돼. (O) / 먹으면 안 된대. (O)

 

말도 안 되네 (O) / 말도 안되네 (X)

 

어떻해, 어떻게, 어떡게, 어떡해

어떡해. 어떡해?, 어떻게- (어떻게 해야?, 어떻게 하지..)라고 쓰면 된다.

실상에서 그냥쓰자면 사투리쓰자 어특해 어특하누 어떠카누 우쨔누 우야꼬

 

되,

문장의 끝은 돼로 끝나야 된다 '되어'를 줄여 쓴 것.

 

대,데

정확한것(fact)을 전달할때는 대를 쓰면 되고,

어중간하거나 그럴 것 같은건 데를 쓰면 된다.

 

,됌

됨이 맞는 표현, 됌은 받침없이 돼만 쓰면 된다.

 

왠,웬

왠은 왜를 쓸때 왠지 왜인지 의미로 쓰면 되고,

웬은 어찌 되어, 어찌된, 어떤, 어떠한 의미로 쓰면 된다.

 

던,든

그랬던지 그랬든지 덥던가 덥든가정도로 쓰이는데,

-던지는 과거를 회상할때 쓰이고, -든지는 하나나 둘 이상을 택할때 의미로 쓰인다.

 

이점, 잇점

잇점은 '이점'의 잘못된 표현

 

어이,어의

어이는 어처구니 없다. 준말

어의는 의원직책이다.

 

역할,역활

 

불리다,불리우다,불리우던

불린다(O), 불리는,불리우는(O), 불리운다(X), 불리우더라,불리우던(O)

 

피다,피우다

꽃이 핀다,피다(O), 꽃이 피우다(X)

담배를 피우다(O), 담배를 핀다,피다(X) 

 

낫,낮,낳은 틀리지 말자..

 

마춥뻡 이렇게 쓰면 외안되?

않이.. 무었이 문제길래 이러케 됫데?

졍먈인쥐.. 데단한되?

 

댓글